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국민연금 7월 보험료 인상 내 보험료도 오르는 걸까?

by 프리돈북 2025. 7. 7.

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이 인상되는데, 이번 변경으로 내 보험료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확인하고, 연금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도 반드시 체크해 보세요.

 

 

2025년-7월-국민연금보험료-인상-썸네일
2025년 7월 국민연금보험료 인상

 

 

 

◁ 목차 ▷

1. 2025년 7월, 국민연금 무엇이 바뀌나요?
2. 고소득자·저소득자 보험료 변화 정리
3.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예시
4. 건설 일용근로자 가입 기준 확대
5. 자주 묻는 질문(FAQ)
◐ 마무리

 

 

 

1. 2025년 7월, 국민연금 변화 내용


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제도에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이번 변경은 연금보험료 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의 상한·하한 조정과 가입 범위 확대가 핵심입니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617만 원 → 637만 원으로 인상되고,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9만 원 → 4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건설 일용근로자 가입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보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특히 고소득자와 저소득층, 비정규직 근로자에게 실질적인 변화가 생깁니다.

 

 

 

2. 고소득자·저소득자 보험료 변화 정리


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변경 내용은 고소득 가입자의 부담 증가입니다.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구분 2024년까지 2025년 7월부터 변화 내용
상한 기준 617만 원 637만 원 보험료 산정 상한 ↑
하한 기준 39만 원 40만 원 최소 납부 기준 ↑
보험료율 9% 9% 동일

 

고소득자(월 소득 637만 원 초과)는 최대 월 1만 8천 원 보험료가 늘어나며, 직장가입자는 본인 부담분이 9천 원 증가하고, 지역가입자는 전액 본인 부담입니다.


저소득자(월 소득 40만 원 미만)도 작은 변화가 있습니다. 기준 하한액이 오르면서 최대 약 900원 정도 인상됩니다.

 

80% 가입자는 변동이 없습니다. 월 소득이 40만~637만 원 사이인 대다수의 가입자(약 80%)는 보험료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3.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예시


[예시 1] 고소득자 A 씨 (월 소득 650만 원, 직장가입자)

 

구분 변경 전 (617만 기준) 변경 후 (637만 기준)
산정 소득 617만 원 637만 원
본인 부담액(9%) 555,300원 573,300원
회사 부담액(9%) 555,300원 573,300원
총 보험료 1,110,600원 1,146,600원
월 보험료 인상분 +36,000원

 

 

[예시 2] 저소득자 B 씨 (월 소득 38만 원, 지역가입자)

 

구분 변경 전 변경 후
하한 기준 소득 39만 원 40만 원
보험료(9%) 35,100원 36,000원
증가액 +900원

 

 

 

4. 건설 일용근로자 가입 기준 확대


건설현장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은 종종 국민연금 가입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25년 7월부터는 사업장 단위로 가입 대상이 확대됩니다.

변경 전: 건설 ‘현장별’로 판단해 단기 현장만 있으면 미가입
변경 후: '사업장별'로 바뀌며, 같은 회사의 다른 현장에서도 일정 기간 이상 근무 시 가입대상이 됩니다.

이는 연금 사각지대에 있는 일용근로자들에게 사회안전망을 확장하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 누가 얼마나 달라지나?

 

가입자 유형 변경 전 기준 변경 후 기준 보험료 변화
고소득층 상한 617만 원 상한 637만 원 월 최대 +18,000원 인상
저소득층 하한 39만 원 하한 40만 원 월 최대 +900원 인상
중간소득층 40만 ~ 637만 원 동일 변동 없음
일용근로자 (건설) 현장별 가입 기준 적용 사업장별 가입 기준 적용 확대 신규 가입 대상↑

 

 

 

 

5. 자주 묻는 질문(FAQ)


Q1.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율(9%)도 바뀌나요?
A1. 아니요. 보험료율은 9%로 그대로 유지되며, 상한과 하한 조정에 따른 부담만 바뀝니다.

Q2. 내 소득이 400만 원인데, 나에게도 영향이 있나요?
A2. 아닙니다. 소득이 40만 원~637만 원 사이인 가입자는 기존과 동일한 보험료를 납부합니다.

 

Q3. 고소득자인데 소득이 급등했어요, 보험료 얼마나 오르나요?
A3. 월 소득이 637만 원 초과하는 경우, 기준이 637만 원으로 고정되며, 보험료는 637만 원 × 9% = 57만 3,300원입니다.


Q4. 저소득층도 꼭 납부해야 하나요?
A4. 네, 월 소득 40만 원 미만이어도 하한 기준이 40만 원으로 조정되어 최소 보험료는 유지됩니다.

Q5. 일용근로자인데 가입대상이면 어떻게 가입하나요?
A5. 건설현장 일용근로자는 해당 사업장에서 사업장 단위로 가입하며, 공단에 사업장 신고 후 가입이 진행됩니다.

Q6. 내 보험료 변화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6.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나의 보험료 납부내역’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7. 내년에도 또 변경되나요?
A7. 네,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은 매년 7월 1일에 전년도 평균소득률을 반영하여 자동 조정됩니다.

 

 

 

 

 

 

 

마무리 : 7월 국민연금 변화, 놀라지 마세요!


7월,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 기준이 변경됩니다. 특히 소득 상위권 가입자들의 기준소득월액이 조정되며, 이에 따라 최대 월 1만 8천 원까지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이는 연금 개혁과는 별개로 매년 이루어지는 정기적인 변동입니다. 내 소득에 따른 정확한 보험료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화하는 국민연금 제도를 이해하고 현명하게 대비해야 합니다.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준비가 필수입니다.